영국에서 취업 비자가 정말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글로벌 탤런트 비자는 정말 많은 장점들이 있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처럼 신청 조건과 방법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대행사나 변호사를 고용해서 문서 체크나 조언을 받는데, 당연히 더 많이 비싸고, 굳이 그런 서비스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혼자 영국 비자 공식 웹사이트 (UK.GOV) 자료를 읽으면서 한 3개월 정도 준비했습니다. 비자 신청에 성공한 주변사람들이 있다면 이것저것 물어보면서 자료 체크 받을 수 있을텐데, 혹시 저한테 물어보고 싶으시다면 댓글 남겨 주시면 답장 드리겠습니다.
미리 말씀 드리자면, 저는 영국에서 취업해서 지낸지 한 3년 된 건축 디자이너이고, 비자 대행사나 변호사가 아닙니다 :)
그냥 이 비자 받았다고 주변에 얘기하면 어떻게 이 비자를 받았는지 쫑알쫑알 물어보는 주변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생각과 질문, 방법을 정리해서 올려놓고 주변에 공유할 목적으로 글을 썼습니다.
목록
- 스킬드 워커 (Skilled Worker - Tier 2)의 단점 - 줄여서 티어 투 (Tier 2)...
- 글로벌 탤런트 비자 (Global Talent Visa - Tier 1)의 장점
- 글로벌 탤런트 비자 획득 방법 (예술 분야)
1 - 첫번째 방법 (수상 경력)
2 - 두번째 방법 (추천서와 증명문서): - 글로벌 탤런트 비자 비용
- 글로벌 탤런트 비자 이후에는?
-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
스킬드 워커 (Skilled Worker - Tier 2)의 단점 - 줄여서 티어 투 (Tier 2)...
영국에 취업한다 그러면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은 티어 투를 많이 선택합니다. 사실 선택한다기 보다는, 그게 그냥 기본 옵션이라서 회사에서 직원에게 비자를 스폰서 해주고 직원을 한 회사에 딱지처럼 붙어있게 합니다. 영국에 취직해서 지내고 있는 제 친구들을 봐도 티어 투를 선택했다기 보다는 받아들였다고 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티어 투는 자유도가 좀 많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만일'에 대해 걱정하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만약 1년 계약직이라면 1년 후에 또 회사하고 얘기해서 비자 연장을 부탁해야 하는 입장이 되고, 이직을 하고 싶다면, 이직하고 싶은 회사가 비자를 스폰서 (지원) 해주는 회사여야만 이직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비자를 지원 해줄 수 있는 회사는 큰 회사가 많은데, 작은 회사에 가고 싶은 경우에 작은 회사라서 비자 지원을 해줄 수 없다면 그 작은 회사로 이직하고 싶은 생각은 포기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 (Global Talent Visa - Tier 1) 의 장점
글로벌 탤런트 비자의 장점은 티어 투와는 다르게 자유롭게 이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 신청 때 지원 했던 직종 (저는 건축/예술)과 관련이 있는 회사라면 어디든지 일할 수 있고, 회사에서 비자를 스폰서 받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킬드 워커 티어 투 비자와는 다르게 비자를 한번에 1년에서 5년까지 마음대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의 얼마든지 자유롭게 연장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처음 이 비자를 신청할 때 주머니 자금이 부족해서 (ㅠㅠ??) 2년을 신청했었는데, 영국와서 2년 후에 다시 3년을 신청했습니다. 연장 신청은 몇 개월 전인 작년에 신청했었고, 별도의 새로운 문서 제출 없이 거의 자동으로 3년 갱신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는 다양한 업종별로 (엔지니어, 기술직, 예술 등) 지원이 가능하고, 자신이 '글로벌 탤런트'라는 것을 두 가지 중에 선택해서 증명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영국 정부는 업종을 세가지 (아래 그림 Overview) - 학술과 연구, 예술과 문화, 전자 산업 등으로 나누어 놓고, 업종 별로 글로벌 탤런트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기관도 지명해 두었습니다.업종별로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주로 저의 경험담을 예를 들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제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서 글로벌 탤런트 비자를 받을 수 있는 자격 조건과 구체적인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부터 알려드리는 정보는 글로벌 탤런트 비자 중에서도 '예술 분야 - 건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가 신청한 경로여서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 드립니다. 만약 다른 분야일 경우에는 신청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 획득 방법 (예술 분야)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획득이 가능합니다.
- 첫번째는,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대단한 상을 타는 것
- 두번째는,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추천서와 몇가지 증명 문서를 제출하는 법
첫번째 방법 (수상 경력):
아무 상이나 되는 거 아니므로 아래 웹사이트에서 자신이 그 상을 받은 게 맞는지 자세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알기로는 이런 상들을 받는 게 좀 많이 어렵다고 알고 있습니다!
두번째 방법 (추천서와 증명문서):
이제부터 이 방법을 주로 적어보겠습니다. 이건 제가 신청한 경로로써, 사실은 그렇게 정말로 대단한 세계적으로 대단한 인재 (글로벌 탤런트)가 아니어도 됩니다. 이 두번째 방법은 일단 추천서와 글로벌 탤런트라고 증명할 만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아래의 두 가지)
- 추천서 3개
- 매체 노출 증명 최소 2개 + 출판 혹은 전시 경험 증명 최소 2개
위의 두 가지 조건 (추천서와 증명 문서)에 대해 밑에서 자세히 써보겠습니다.
두번째 방법 中 첫번째, 추천서:
- 3개 중에서 2개의 추천인 (추천서를 써주는 사람)은 당신이 속한 분야의 전문가이며 공식적으로 인정된 (established) 회사나 기관의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둘 중에 최소 한 명(그 사람의 기관이나 회사가)은 ( 그 사람이 지금 당장 굳이 영국에 있지 않아도) 영국에 위치하고 있어야 합니다.
- 세번째 추천인은 회사나 기관에 속해있지 않은 개인이어도 되지만, 당신이 속한 분야의 전문가여야 합니다.
- 여기 굳이 적혀있지 않지만, 그리고 어쩌면 당연한 말이겠지만, 이 3명의 추천인이 그 분야에서 많이 유명하다면 글로벌 탤런트 비자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 제가 이 비자를 처음 신청했을 당시는 약 2년 반 전으로, 그 때는 조건이 조금 더 까다로웠었던 것 같습니다. 추천인 3명 중 2명은 기관이나 회사의 리더직급이어야 했는데, 지금 웹사이트에는 그건 언급되지 않았네요. 어쩌면 조건이 조금 쉬워져서 신청하면 성공률이 더 높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번역은 했지만 원문은 아래의 스크린 캡쳐와 공식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번째 방법 中 두번째, 증명 문서:
- 증명 문서는 두가지 종류의 증명문서를 필수로 제출하셔야 합니다.
매체 노출 증명 최소 2개 + 출판 혹은 전시 경험 증명 최소 2개 - 두 종류의 증명문서는 모두 합쳐서 최대로 10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 참고)
두 번째 방법의 증명 문서 1 - 국제적으로 매체에 노출된 경험 (International Media Recognition)
두 가지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실은 그냥 간단히 얘기하자면, 온라인 건축 잡지 같은 매체에서 자신의 작품이 노출된 걸 스크린샷을 찍어서 올리면 되는 겁니다.
건축분야라면 아크데일리 (Archdaily) 같은 유명한 곳이 있겠고, 저는 중국 북경 사무소에서 일하면서 공모전에서 1등 상을 탄 프로젝트가 아크데일리에 올라가서 그걸 스크린샷으로 캡쳐해서 자료로 넣었습니다. 같은 프로젝트라도 만약 두 가지 다른 매체에서 노출되었다면 두 가지 매체 모두 스크린샷을 찍어서 제출하셔도 됩니다.
두 번째 방법의 증명 문서 2 - 국제적인 출판 경험 혹은 전시 경험 (International Media Recognition)
이것도 두가지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출판도 되고 전시도 됩니다. 전시라면 프로젝트가 전시된 곳의 담당자에게 추천서를 써달라고 부탁하거나 (나 이 전시에 참여했었어-라는 증명으로 제출하기 위해서) 혹은 그 전시회의 명단이 적힌 것을 스크린샷으로 찍어서 증명으로 올리셔도 됩니다. 저는 출판 경험이 없어서 여러 전시 경험을 한 4가지 정도 넣었습니다.
그리고 위의 두가지에서 공통된 요구사항으로는 지난 5년간 참여했던 작품이나 프로젝트여야 합니다.
5년보다 더 오래된 자료는 제출할 수 없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 비용
우선 글로벌 탤런트 비자를 변호사나 대행사 없이 혼자 신청하기로 마음 먹으셨다면 우선 그 비용 (영국에서는 대략 2000파운드 한다는)을 줄이셨습니다 (짝짝짝). 글로벌 탤런트 비용은 제가 기억하기로는 두가지 주요 비용을 포함하는데, 하나는 '비자 신청 비용 (Visa Application Fee)'이고, 나머지 하나는 매년 내야 하는 건강보험 비용 (National Health Insurance) 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첫번째는 대략 600파운드 정도이고, 두번째도 대략 600파운드 정도로, 빠르게 대충 알아보고 싶다면...
예를 들어 이렇게 계산해보면 됩니다.
- 처음 신청할 때 2년 신청하고 싶다:
비자 신청비용 700 + 2x건강보험비용 600 = 700+1200
= 총 1900 파운드 정도 - 마찬가지로, 처음 신청하는 경우 3년 신청하고 싶다면: 700+600x3
= 총 2500 파운드 정도 - 한 번 신청할 때 5년 다 신청하고 싶다-라면:
700+600x5
= 총 3700 파운드 정도 - 그러면 첨에 2년 신청하고 다음에 3년 연장할 때 총 들 수 있는 비용:
1900 + 2500
= 총 4400 파운드 정도 (700 더 든다)
자세히 계산해보면 아시겠지만, 한꺼번에 5년을 신청하는 방법이 가장 저렴합니다. 왜냐하면 비자 신청할 때 마다 '비자신청비용'이 들기 때문이죠. 그리고 매년은 아니지만 시간이 흐르고 인플레이션도 있고 해서 조금씩 비자 비용도 비싸지고 있으므로 한번에 5년치를 내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조금이나마 낮을 때 (아직 비자 비용이 오르지 않았을 때) 비자비용을 내게 되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영국에 꼭 5년을 계시고 싶은지 미래 계획이 분명할 때 이 5년치 비자 비용을 한꺼번에 내는 게 좋겠죠. 3년 후에 커리어나 연애 때문에 미국으로 일본으로 한국으로 갈 수도 있다-라면 굳이 한꺼번에 5년치 비자비용 내게 된다면 오히려 손해이니 개인 상황을 잘 판단하시어 비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글로벌 탤런트 비자 이후에는?
글로벌 탤런트로 이제 5년을 영국에서 머물렀다-하면 다들 보통 생각하는 게 이제 영주권 입니다. 저도 이제 앞으로 2-3년 남았네요. 화이팅. 영주권을 따게 된다면 추후에 영주권 따는 과정도 올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
= 공식 웹사이트의 최신 정보.
그리고 이렇게 저의 경험대로 글을 썼지만 (물론 영국 정부의 웹사이트도 다시 열어보고 참고 했지만), 사실 정말 정말 가장 중요한건, 영어 실력이 어느 정도 된다면 반드시 UK.GOV 웹사이트, 즉 영국 정부의 비자 관련 공식 웹사이트에 들어 가셔서 최신 정보를 확인 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최신 정보는 계속 바뀌기 때문입니다. 비자 받는 조건도 비용도 계속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듯 합니다.아래는 영국 정부가 제공하는 글로벌 탤런트 비자에 관련된 최신 공식 정보입니다.
혹시 질문이 있으시다면, 주저하지말고 댓글에 질문을 올려주세요. 그리고 최대한 공개 댓글로 남겨 주시면 댓글을 보는 다른 많은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참고링크:
- 영국 글로벌 탤런트 비자 상세정보+신청 공식 웹사이트:
https://www.gov.uk/global-talent
'영국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하는 일을 계속해서 한다는 것. 그리고 수익성을 추구한다는 것. (13) | 2024.04.25 |
---|---|
영국 자하 하디드 현직 건축 디자이너 연봉은 얼마일까? (5) | 2024.03.08 |